주식투자를 시작하게 되면 당신의 삶의 생각에서 투자에 관련된 생각의 비중이 매우 커질 확률이 높다. 이는 금액과는 관계가 그다지 크지 않다고 생각한다. 우선 당신은 9시부터 3시30분 사이에 HTS나 네이버증권에서 당신이 보유한 회사의 주가를 자주 확인하게 될것이며 이는 당신의 집중력을 약화시킬것이다.
당신은 세계의 뉴스에 관심을 가지게 될것이고 이런 현상에 내 주가가 빠지는 이유가 납득이 안되는 과정을 거칠것이다. 이란이 미사일을 쏘고나니 왜 한국증시는 하락할까 정작 미국은 별로 하락도 없는데 왜 한국증시는 외풍에 취약한지에 대해 생각하면서 한국증시의 변동성에 놀랄 확률이 높다. 그리고 해외증시에 대한 관심도 생기게 될 것이다.
당신은 여러 많이 오르는 주식들을 상대적으로 비교하며 내 보유한 주식이 안오르는 경험을 하면서 상대적 박탈감을 강하게 느낄 것이다. 그리고 왜 나의 원칙이 시장에 안먹히는지 고민을 하게 될것이고 빠른 수익에 현혹되고 거래빈도수가 처음에 늘 확률이 매우 높다는 것이다. 그 방식이 수익을 날 가능성은 거의 없지만 간혹 당신은 운이 좋아 돈을 벌게 되 자기편향적 사고가 강해짐으로서 투자금이 커질 것이다. 돈이 많으면 더 많이 벌었겠지라 생각하면 역시 투자는 자본금이 중요해라는 생각을 가지게 되면 몰빵투자를 하게 될 확률이 높을 것이다.
당신의 업무집중력은 매우 떨어질 확률이높다. 업무보다 주식의 시황변동이 더 자극을 주기 때문이다. 주식을 시작할 때 아무리 강한 투자자마음으로해도 주식시장이 주는 반응속도에 당신의 뇌는 반응할것이고 예전보다 쉽게 사고팔수있는 스마트폰 주식매매덕분에 당신은 어디서나 매매를 할 수 있을 것이다. 이는 이성보다 감정의 영역이 당신을 지배할 확률이 높으므로 당신은 감정편향성에 빠진 투자를 하며 간혹 돈을 벌 것이다. 그러나 시장이 수업료로 가져갈 확률이 높을 것이다.
주식시장에 처음 진입할 때 보유기간이 긴 CASE를 거의 보지 못했다. 대부분 단타로 거래가 자동으로 바뀌게 된다. 실시간으로변하는 가격과 수익앞에서 평정심을 유지하는 행위는 매우 어렵다. 또한 돈을 잃었을 때 손절매를 한다는 것 또한 책과는 다르게 매우 어려울 것이다. 또한 당신의 주식을 손절매 한 뒤가 바닦일 확률이 매우 높고 그런 경험을 하게 된다면 당신은 손절매를 주저함으로서 손해가 매우 커질 확률을 가지게 될 것이다.
처음 주식투자를 할 때 작은 돈일지라도 분산투자로 시작하는 것을 권유하곤 한다. 당신이 처음 투자하는 주식종목분석능력은 당연히 떨어질수밖에 없다. 책과 현실은 다르기 때문이다. 주식시장은 비이성적으로 돌아가면서 합리적인 아주 모순적인 존재이다. 모순적일 때 기회가 있지만 모순적일때는 대부분 공포가 매우 심할 때이다. 지나고보니 이란사태는 지금은 대충 덮혔지만 이 사태가 장기화 될 확률도 있기에 손을 머뭇거리게 되는 것이다. 금융위기나 하락시에 투자를 하는 행위는 상당한 용기가 필요한 행위이고 실현하기가 어려운 이유는 대부분의 자금이 당신은 이미 투자되있기 때문일 것이다. 지속적으로 분할투자를 해왔는데 지속적으로 하락해 추가매입을하게되서 정작 크게 빠져서 현금이 없어서 바닦임을 아는데에도 주식을 못사는 경우가 많다. 이래서 책과 현실의 차이점이 있는것이다. 언제나 현금비중이 필요하지만 그 현금도 계속 주식을 사다보면 없어지기 마련이다. 주식에서의 중요한 점은 합리적인 장기투자를 하는 법에 대한 고민을 갖는 것이다. 특히나 직장생활과 병행하고 싶다면 마음이 편안한 회사 내 돈을 잘 굴려줄 회사에 대한 고민을 한 뒤 1년에 1~2번 큰 하락이 있거나 하락일 때 사는 것이다. 언제나 주식을 사는게 아니다. 위험할 때만 매수할려는 노력을 하야한다. 언제나 거래하기보다는 장기적인 관점에서 투자하는게 좋다. 그래야 당신은 주식에서의 집중력 흡수현상을 완화하고 투자세계를 넒게 볼수 잇을 것이다.
'투자이야기 > 투자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투자,사회,역사에관한 생각모음 (0) | 2020.04.04 |
---|---|
투자는 운빨입니다. (0) | 2020.01.24 |
중동이슈로 증시가 트리거이지만 과연 그것뿐일까? (0) | 2020.01.08 |
주식투자에서 실패를 겪어야 하는 이유 (0) | 2019.12.31 |
금리인상으로 가고 있는 지금 이순간에 대하여 (0) | 2019.12.22 |